회고

[회고] 스프린트 회고 방법론 4L 회고

노사수 2024. 1. 23. 00:18

Illustration of a team conducting a retrospective meeting, analyzing and discussing project elements on a whiteboard.

 

우선 회고란 무엇일까? 회고의 사전적 정의는 '뒤를 돌아봄', '지나간 일을 돌이켜 생각함'이다. 말 그대로 지난 일을 생각하며 실패의 원인을 찾거나 좋았던 점을 상기시키기 위함이다. 

 

기획자에게 회고는 왜 중요할까?

  • 첫째, 회고를 통해 이전 스프린트나 일련의 결정에 대한 경험을 평가하고 배울 수 있다. 무엇이 잘되었고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스프린트나 프로젝트에서는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둘째, 회고는 향후 기획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전 경험을 반영하면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계획할 때, 비슷한 도전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거나 성공 사례를 활용할 수 있다.

  • 셋째, 팀 내 의사소통을 강화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회고를 통해 팀원들은 서로의 관점을 이해하고 개선점을 공유할 수 있다. 이는 효과적인 협업과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회고의 중요성은 알겠는데, 회고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대표적인 회고 방법론으로는 KPT, 4L 등이 있다.  우리 팀에서는 4L 회고를 채택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4L 회고의 구성

  • Liked (좋았던 점): 프로젝트나 작업에서 성공적으로 진행된 부분이나 긍정적인 경험
  • Learned (배운 점): 새로운 지식, 기술, 또는 팀원 간의 협력에서 얻은 교훈
  • Lacked (부족했던 점): 부족한 자원, 정보, 또는 기술 등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
  • Longed For (바라는 점): 미래에 개선되었으면 하는 부분이나 바라는 상황을 나누고, 그에 따른 목표를 설정

 

4L 말고도 KPT 회고 방법론도 많이 쓰이는데 결국 4L 회고 방법론과 맥락은 같다.

 

KPT 회고의 구성

  • Keep (유지할 점): 현재까지의 프로세스 중 유지해야 할 좋은 점
  • Problem (문제점): 발생한 문제나 도전에 대한 이해를 도출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논의
  • Try (시도할 점): 새로 시도해 볼 아이디어나 개선안을 공유하고, 다음 단계에서 시도해 볼 계획을 수립

회고 진행해야 방법

업무 툴 설명할 때도 언급했지만 결국 툴이 중요한 게 아니라 진행하는 사람이 중요한 것은 불변의 진리다. 툴은 도구로써 거들뿐, 중요한 건 귀찮은 회고를 유지하겠다는 의지와 회고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구성원들에게 상기시키는 것이다.

Notion retrospective meeting template.

 

우리 팀은 노션을 통해 매 스프린트가 종료된 이후 약 한 시간 가량을 투자해 회고를 진행했다. 회고 템플릿은 직접 만들었으며 표 형태로 리스트업 하고, 세부 페이지를 보드 형태로 작성하였다.

 

How to write Notion retrospective meeting template.

 

스프린트 기간, 참여자, 회고 시간, 진행자를 설정하고 회고 보드에 4L 방법론에 따라 카드를 만든다. 카드 생성은 10분 가량 작성 시간을 할당하고 작성이 끝나면 회고 진행자가 카드를 하나씩 조회하며 지난 스프린트에 대한 회고를 공유한다.

사용하고 있는 툴이 없다면, 가장 전통적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구성원들에게 포스트잇을 나눠주고 화이트보드나 벽에 붙여서 공유하는 방식도 있다. 앞서 언급했듯 업무에 있어서 툴은 거두는 수준이다.

정말 제대로 진행하려면 회고에 대한 트래킹도 진행해야 한다. 좋았던 점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 부족한 점이 다음 스프린트에도 이어지지는 않는지 리더가 관리하면 좋다.

 

요약

  • 회고는 지난 경험을 돌아보고 배움으로써 향후 발전을 도모하는 과정이다.
  • 기획자에게는 이전 결정과 경험을 평가하여 향후 계획에 적용하고, 팀 내 의사 소통 강화에 도움이 된다.
  • 4L과 KPT는 대표적인 회고 방법론으로, 좋았던 점, 배운 점, 부족했던 점, 바라는 점을 고려한다.
  • 회고는 노션 등의 툴을 활용하거나 포스트잇과 화이트보드를 활용하여 진행되며, 지속적인 트래킹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