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aS(Software as a Service)란?
최근 기업들은 더 빠르고, 효율적이며, 비용 효과적인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인력 구성이 필수인데 IT기업이 아닌 이상 개발팀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외주업체를 통해 자체 구축 시 많게는 수백억 원까지 비용이 발생된다. 하지만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나서도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거나 내부 직원들에게 외면받는 경우도 적지 않게 본 것 같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SaaS (Software as a Service), PaaS (Platform as a Service),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들이 등장했고 소프트웨어 시장을 점령하다시피 하고 있다.
SaaS(Software as a Service)란 무엇인가?
SaaS, 즉 Software as a Service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제공 방식을 말한다. 이는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소유하거나 직접 설치할 필요 없이 인터넷을 통해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 방식은 효율성, 접근성 및 비용 절감 측면에서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만 사용 가능하면 어디에서나 작업을 이어나갈 수 있다. 작업물이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저장을 못해서 작업물을 날렸던 지난날의 아픔은 겪지 않아도 된다.
SaaS의 장점과 단점
장점
- 비용 절감: 사용자는 필요한 서비스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므로 구축비용 등 초기 투자 비용이 크게 줄어든다. 보통 월 구독형 과금 모델이 많으므로 사용을 원치 않을 경우 언제든지 해지할 수 있다.
- 유연성: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이 연결된 환경에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으며 로컬 저장이 아니기 때문에 작업물을 날릴 위험이 줄어든다.
- 자동 업데이트: 자체구축한 일반적인 소프트웨어는 업데이트가 필요할 경우 막대한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외주사에 견적을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SaaS는 제공업체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유지보수를 담당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담을 줄여준다.
단점
- 보안 우려: 중요한 데이터가 외부 서버, 즉 제공업체 서버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보안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SaaS 서비스를 꺼려하는 대표님을 본 적이 있다.
- 제한된 커스터마이징: SaaS 제품은 커스터마이징이 불가하거나 극히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주요 기능에 대해서는 제공업체가 사용자의 니즈 파악 후 업데이트 하긴 하지만 회사에 맞춤형으로 커스터마이징 하는 것은 불가하다.
- 인터넷 의존성: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없는 환경에서는 서비스 이용이 어렵다.
SaaS vs 온프레미스(On-Premises)
온프레미스 솔루션은 기업이 자체 서버와 인프라에서 소프트웨어를 직접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에 비해 SaaS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운영되어 더 빠르고 유연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온프레미스는 높은 초기 투자비용과 유지보수가 필요하지만, 보안과 커스터마이징 측면에서 더 많은 제어권을 제공한다. 반면 SaaS의 경우 비용 절감 효과가 있지만 반대로 보안과 커스터마이징 측면에서는 온프레미스보다 단점이 많다.
SaaS 주요 제품들
- Salesforce: CRM 분야에서 선두주자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통해 맞춤형 고객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 Google Workspace (구 G Suite): 구글의 SaaS 제품군으로, 이메일, 문서 작성, 클라우드 스토리지 등 다양한 오피스 툴을 제공한다.
- Slack: 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플랫폼으로, 간편한 메시징과 통합 기능으로 업무 효율성을 크게 개선시킨다.
- Notion : 클라우드 기반 메모 기능을 시작으로 칸반보드, 테이블, 캘린더 등 협업에 필요한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한다.
- Figma : 제품 디자인 업계를 강타한 클라우드 기반 디자인 툴.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 간의 효율적인 협업을 가능케 한다.
PaaS와 IaaS
PaaS (Platform as a Service)
PaaS는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플랫폼과 도구를 클라우드에서 제공받는 서비스를 말한다. 개발자들은 PaaS를 통해 개발, 테스트, 배포, 관리 및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시로는 Heroku, Google App Engine 등이 있다.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는 기본적인 컴퓨팅 인프라 – 서버, 네트워킹 기능, 스토리지, 데이터 센터 공간 등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사용자는 자체 하드웨어를 구매, 설치, 유지보수할 필요 없이 필요한 인프라 자원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임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확장성과 유연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비용을 절감시킨다. 대표적인 예로는 Amazon Web Services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Platform 등이 있다.
SaaS가 모든 기업에 무조건적으로 옳은 선택일 순 없다. 비용과 리소스가 충분한 기업의 경우 구축형 소프트웨어가 유리할 수 있다. 회사에 fit한 제품을 만들고 필요시마다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입맛대로 업데이트할 수 있고 회사의 중요 데이터 외부에 노출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용을 절감하고 유연하게 제품을 선택하고자 한다면 SaaS는 최고의 선택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