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정보 과연 DB에 저장해도 되는가?
PG는 꼭 연동해야할까?기획하고 있는 제품의 도메인 특성상 PG사를 이용하지 않고 승인/매입이 이뤄진다. 보통 PG 결제창을 호출하여 다양한 결제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커머스나 플랫폼에서 흔히 사용하는 방식이다. 다만 이 경우 가맹점 수수료가 2~4%까지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상품가가 100만 원이 넘어선다면 수익률이 상당히 악화될 것이다.앞서 언급했듯 도메인 특성상 PG를 사용하지 않다 보니 Key-in 호출을 통해 결제를 진행한다. 장점은 UI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여 톤 앤 매너를 맞춰 결제창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별도 팝업창이 뜨지 않아 정보 입력 후 바로 결제가 완료된다.단점으로는 매 번 결제 시마다 카드정보를 재입력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유저 카드정보 입력값을 서버에 저장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