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어처리란?
사람의 언어(말이나 글)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하게 만드는 기술
쉽게 말해, 사람의 언어를 이해하는 컴퓨터, 언어로 소통하는 인공지능 등을 만드는 게 자연어처리.
자연어처리 대표 기술
토큰화 (Tokenization) | 문장을 단어/문장 단위로 쪼갬 | "나는 밥을 먹었다" → ["나는", "밥", "먹었다"] |
품사 태깅 (POS tagging) | 각 단어의 품사 파악 | "먹었다" → 동사 |
개체명 인식 (NER) | 사람, 장소, 조직 등 찾아냄 | "이순신은 조선 장군이다" → 이순신: 인물 |
문장 분류 (Text classification) | 감정 분석, 카테고리 분류 등 | "좋아요!" → 긍정 |
질의응답 (QA) | 질문에 대한 답변 생성 | "한글 만든 사람?" → 세종대왕 |
요약 (Summarization) | 긴 텍스트 요약 | 기사 → 한 문장 요약 |
번역 (Translation) | 한 언어 → 다른 언어 | "Hello" → "안녕" |
텍스트 생성 (Text generation) | 문장을 이어서 생성 | GPT, ChatGPT, Claude 등 |
예시 1: "오늘 날씨 어때?" → 날씨 알려주는 AI
날씨 앱에 아래와 같이 질문을 하면
"오늘 우산 챙겨야 해?"
자연어처리 기술은 이 문장을
- 질문인지
- 날씨에 대한 건지
- 우산 관련된 건지
파악해서,
"네, 서울은 오후에 비가 올 예정이에요."
라는 답변을 제공
예시 2: 유튜브 자동 자막
유튜브 보다가 영어 자막, 한국어 자막 자동으로 생기는 기술
- 사람이 말한 음성 → 글자로 바꾸기 (음성인식)
- 영어를 → 한국어로 바꾸기 (번역)
→ 이 두 가지도 전부 자연어처리
예시 3: 고객센터 챗봇
쇼핑몰 고객센터에 "반품하고 싶어요" 라고 입력하면,
"주문하신 상품을 선택해주세요. 반품 사유도 알려주세요."
라는 식으로 대답하는데, 이 또한 고객의 말 속에서 핵심 의도를 파악해서 반응하는 자연어처리의 기술
예시 4: 스팸 문자 자동 분류
“~대출 한도 조회 가능” 등의 스팸 문자,
문자의 말투, 단어, 문장 구조 등을 보고 컴퓨터가 스팸 메시지를 분류
예시 5: 감정 분석
리뷰나 댓글에서
- “진짜 최고예요!” → 긍정
- “다신 안 사요.” → 부정
이렇게 감정까지 분석해서, 마케팅에 활용
자연어처리(NLP) 기본 흐름
입력 수집 (Input)
- 예시: 텍스트, 음성 등
- 텍스트 입력: 이메일, 댓글, 뉴스기사
- 음성 입력: 대화, 전화 녹음 등
전처리 (Preprocessing)
- 문장을 컴퓨터가 처리하기 쉽게 정리
- 대표 작업:
- 토큰화(Tokenization): 문장을 단어/문장 단위로 자르기
- 정제(Cleaning): 특수문자 제거, 소문자 통일
- 불용어 제거(Stopword Removal): “은”, “는”, “이”, “가” 등 의미 적은 단어 제거
- 형태소 분석(Morphological Analysis): 어근, 품사 분석
벡터화 (Vectorization)
- 단어를 숫자로 바꾸기
- 예: Bag of Words, TF-IDF, Word2Vec, BERT 등
모델 처리 (Modeling)
- 머신러닝 or 딥러닝 모델로 분석/예측
- 예: 감정 분석, 문서 분류, 요약, 번역 등
출력 결과 (Output)
- 결과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게 표현
- 예: 긍정/부정, 분류 결과, 요약문, 응답 문장
자연어처리의 진짜 힘
예전엔 사람이 직접 일일이 판단하던 것들을 이젠 기계가 사람처럼 말하고, 읽고, 알아듣고, 요약까지 가능
- 기자 대신 기사가 요약되고
- 상담사 대신 AI가 응대하고
- 외국어 대신 자동번역기가 도와주고
자연어처리는 우리의 일상 속 '언어 감각 있는 AI'를 만드는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