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BS는 프로젝트 관리에서 사용되는 핵심 도구 중 하나로, 'Work Breakdown Structure'의 약자이다. 프로젝트의 전체 범위를 더 작고 관리 가능한 단위로 나누는 방식을 말한다. 이 방법은 프로젝트 팀이 명확하고 구체적인 작업 목록을 이해하고 추적할 수 있게 도와준다.
WBS의 개념
WBS는 복잡한 프로젝트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계층적 구조이다. 기본적으로 프로젝트를 여러 단계로 나누며, 각 단계는 추가적으로 세분화되어 특정한 작업이나 활동으로 구성된다. 이 구조는 프로젝트의 전체 범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며, 각 작업의 관계와 기능별 일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WBS 작성 방법
WBS를 작성할 때는 먼저 프로젝트의 최종 목표를 정의한다. 그 후,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작업이나 단계로 분할한다. 각 주요 작업은 더 작은 작업으로 세분화되어야 하며, 이 과정은 필요한 모든 작업이 포함될 때까지 계속된다. 중요한 것은 각 하위 작업이 명확하고 구체적이어야 하며, 관리 가능한 수준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작업이 분류된 뒤에 작업자를 배정한다. 세분화된 작업을 전체 개발 일정 내에서 적절히 배분한다. 엑셀 같은 시트에 작성하는 경우가 흔한데, WBS라고 해서 무조건 엑셀에 정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작업 분류의 한 방식으로써 어떠한 툴을 사용하든 상관없다.
WBS의 장점
WBS의 주요 장점 중 하나는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조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프로젝트의 복잡성을 줄이고, 팀원들이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WBS는 예산 책정, 자원 할당, 일정 관리 등 프로젝트 관리의 다른 측면에도 유용하다.
WBS의 단점
정확하고 효과적인 WBS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며, 때로는 과도한 세분화가 오히려 프로젝트 관리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정확히 산출되지 않은 기한을 WBS로 쪼개 관리할 경우, 오히려 너무 느긋한, 혹은 반대로 너무 빠듯해서 모든 일정이 꼬여버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유연한 조직보다 체계적인 조직에 더 적합한 업무 분할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WBS로 일정 관리를 해도 결국 지속적인 팔로업과 관리가 병행되지 않을 때 흐지부지 되는 경우를 목격했다. 일정 관리는 결국 방식도, 업무툴도 그저 거두는 역할일 뿐 가장 중요한 건 작업자의 의지와 관리자의 부지런함일 것이다.